*生活 常識 , 古今通義

참외는 참 외롭다

달샘전희자 2012. 8. 2. 13:24

 

 

마디 하나에 하나씩 꽃피고 열매 맺는 참외

외로움은 홀로 견디고 누리는 당당함이다

 

 

 

참외의 '외'는 둘이 아니라는 뜻이다

외아들, 외딴집 할 때의 그 '외'다

영어로는 'me-ione'이다

"are you ionesome tonight?" 할때의  그

'ione' 이니 역시 '혼자' 라는 뜻이다

한자의 외로움 고(孤)자에도 참외 하나(孤)가

들어 앉아 이쪽을 말갛게건너다 본다

 

우리 말과 영어, 한자를 만든 이들이 함께 모여

회의를 한것도 아니련만 '혼자'라는 의미에 똑같이

'외'라는 과일을 사용한 건 희한한 일이다

'슬기' 가 '슬기-롭다' 가 되고 '지혜'가 '지혜-롭다'가 되는

우리말 구조를 따져보면 '외-롭다'는 '외'로부터 나온게 확실하다

그들은 왜 '외로움'이란 의미를 밭에 돋아 홀로 열매가 굵어가는저 보잘것 없는 초본식물로부터 만들어 냈을까,

 

경상도 안동 말을 쓰던 엄마는 오이를 '물외' 라고 부르고 참외는 그냥 '외' 라고 불렀다

오이는 영어로 'cucumber' 이고 한자로 황과며 수박은 'water meion 수과다

수박도 외롭기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박목-박과에 속한 식물들이지만 다른 성질들이 우세해서 세 언어 공히 같은 이름을 얻지는 못했다

그러나 참외만은 '참'이라고 진짜임을 강조하는 모자까지 척 쓰고 '외로움' 절대 강자가 되어 수천 년을 (아마도) 버텨오고 있다

참외기 단순히 단물 가득한 과일이 아니고 '외로움'을 표상하게 된 비밀을 나는 다석 유영모 선생의 제자인 박영호 선생에게 처음 들었다

 

외는 마디 하나에 꽃이 하나씩만 핀다

다른 식물은 대개 쌍으로 꽃이 피어 열매도 쌍으로 달리는데 박과의 식물만은 홀로 꽃피니 열매도 하나 뿐이다

사과도 배도 대추도 감도곁의 놈에게 의지 하건만 외만은 아니다

홀로 피어야 열매가 둥글게 자랄 수 있다

방해 받지 않고 마음껏 몸이 굵어질 수 있다 

몸 안에 단맛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다

외가 홀로 비와 어둠과 바람과 땡볕을 견디고 또 누리는 것은 그 길만이 안에서 익어가는 성숙을 담보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외' 의 진정한 의미이다

 

 그런데 나는 언제부턴가 일상 언어생활에서 이 오래되고 의연한 말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뱉어 놓고 보면 외롭다는 말에도 뭔지 얄팤하고 덜덜하고 끈적대는기운이 느껴졌다 그 결핍감과 의존성이 번번히 민망하다

말이란 동시대인의 철학과 정서가 고스란히 담기는 그릇이다

원래 홀로 꽃피어 열매 맺는 '외' 를 보고외-롭다 란 말을 만들었을 시대의 '외로움 이란 당당하게 홀로성을 선택한다는 의미가 강했을 것이다

'-롭다' 란 말 앞에 대게 긍정적인 추상명사가 붙는 걸로 유추해도 그렇고 참외가 익어가는 양을 오랜 세월 관찰해서 언어를 만들어 냈을

고대인의 심리를짐작해 봐도 그렇다

 

 현대인의 외로움엔 원래의 의미 대신 상당량의 '당분' 과 센티멘탈'이 가미도ㅐ 버렸다

시장과 매스미디어는 외로움을 와인이나 초콜릿 커피같은 기호식품에 끼워 팔고 드라마와 가요는 외로움을 달달하게 과잉포장해서 흔하고 값싸게 유통 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우린 진정한 외로움을 잃어버렸다

 

 외꽃이 하나인 건 원래 둘이엇던 것의 결핍이 아니라 홀로됨을 기꺼이 선택해 성숙에 이르기 위함이다

 

 주변 젊은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다석을 아는 이가 아무도 없다

자신이 죽는 날을 미리 잡아 놓고 하루를 일생처럼 사는 일일일생주의 (一日一 生主義)을 견결하게 실천했던 다석같은 선각을 잃어버렸으니 참 외로움도 사라질수 박에!

다석은 사모하던 남강 이승훈 선생님만큼만 살기로 작정해 자신의 수명을 66세로 정했었다

 

존경과 사모와 사숙이 희귀해진 세상에도 여전히 참외는 익는다

자라는 아이의 함량을 키우려면 남의 잣대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 고요하게 '종심소욕' 하려면 홀로 견디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전철역 입구에 세운 트럭안에 아무렇게나 딩구는 참외의 참 외로움을 본받아야 한다

온 세상에 땡볕이 가득하다

그렇지만 이건 내게 단물을 들이기 위한 시간일 뿐!

 

 

                                                                  김서령(오래된 이야기 연구소 대표)

'*生活 常識 , 古今通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을 표현하는 사자성어  (0) 2012.12.23
후흑(厚黑)  (0) 2012.07.27
한자로 보는 세상, 大署(대서)  (0) 2011.06.05
우리말 바루기 돈나물(?)  (0) 2011.06.05
우리말 바루기  (0) 2011.05.30